본문 바로가기

생활상식

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소소한 팁

 

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소소한 팁

 

쓰레기가 없는 삶은 말하는 제로웨이스트(ZERO+WASTE).

 

플라스틱, 비닐과 같은 썩지 않는 물건,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,

내가 버리는 것들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게 천연자원을 활용하자는 운동입니다.

 

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소소한 팁

 

우리나라 국민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은 세계 1위인 132.7kg이라고 합니다.

2위인 미국은 93.8kg이니 39kg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.

하루에 5,000톤이 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한다고 하니 정말 어마어마한 양이죠?

 

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소소한 팁

 

썩지 않는 플라스틱이 환경오염과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것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.

하지만 우리가 매일 플라스틱을 먹고 있다는 것도 들어보셨나요?

세계 자연 기금(WWF)에 따르면 한 사람이 일주일간 섭취하는 미세 플라스틱의 양이 신용카드 한 장인 5g 정도가 된다고 합니다.

한 달이면 칫솔 한 개(21g) 정도가 되는 많은 양이요.

기분이 어떠신가요?

꽤 심각한 문제 맞나요?

 

다행스러운 점은 최근 사람들이 쓰레기를 줄이려는 인식이 강해지면서,

주변에서 쉽게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사람을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정책적으로도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이 제한하고 있고,

기업들도 불필요한 비닐, 플라스틱 소재의 대신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SNS만 봐도 많은 사람들이 제로웨이스트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.

어떤 것이 있는지, 그중 우리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 

대체품 사용하기

1. 손수건

손수건을 휴대하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휴지와 물티슈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,

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있습니다.

 

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소소한 팁

 

2. 텀블러

조금 수고스럽지만, 개인용 텀블러를 휴대하면 일회용 테이크아웃 잔과 홀더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 

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소소한 팁

 

3. 대나무 칫솔

분해에 100년 걸리는 플라스틱 칫솔 대신 6개월이면 분해되는 장점이 있고, 사용하는 데 불편함도 없습니다.

 

 

 

개별 포장된 제품 사용 지양하기

아무래도 낱개 포장된 제품은 그만큼 비닐 쓰레기가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.

야채나 과일을 살 때도 비닐 포장이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을 구입하는 게 어떨까요.

 

리필제품 구입하기

용기에 든 제품 대신 리필 용품 구입하기 (욕실, 세탁 세제, 주방 세제 등)

 

성분 확인하기

가급적 천연 성분의 제품 사용하기

 

 

별거 아닌 것 같지만 귀찮음, 익숙하지 않음에 처음부터 실천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조금만 노력을 기울이면 어느새 환경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는 자신을 확인할 수 있을 거예요.

 

요즘 제로웨이스트를 위한 가게인 제로웨이스트 샵과 제품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.

필요하다면 구입해야겠지만 또 다른 쓰레기를 만드는 것은 아닌지 불필요한 소비는 아닌지 스스로 점검한 후 이용하면 좋겠습니다.